경단녀 시대의 끝? M커브가 사라진 노동시장의 풍경

Photo of author

By fluxlifeweb

여성의 경력이 결혼과 출산으로 끊어지는 걸 뜻하는 ‘경단녀’. 이제는 옛말이 되어가는 듯 합니다. 한때 여성의 경력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M’자 모양을 그렸다고 해서 ‘M커브’라고 불렀죠. 하지만 최근 노동시장에서는 이 M커브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놀라운 변화가 어떻게 일어나는지, 그리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1. M커브 현상의 변화: 30대 여성 고용률 상승.

M커브, 들어보셨나요? 여성의 나이별 고용률을 그래프로 그리면 ‘M’자 모양이 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20대에 취업해서 고용률이 올라갔다가, 30대에 결혼과 출산으로 떨어지고, 40대에 다시 일터로 복귀하면서 올라가는 모양이죠.


하지만 최근 통계를 보면 이 M자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놀랍게도 2024년 3월 기준으로 30대 여성의 고용률이 67.1%나 됩니다. 20대(63.4%)와 40대(64.8%)보다 더 높아요! 이건 정말 대단한 변화입니다. M커브가 아니라 역 U자 모양이 되어가고 있는 거죠.

2. 경력단절 시기의 변화: 40대로 이동.

그렇다면 경력 단절은 없어진 걸까요? 아닙니다. 단지 그 시기가 뒤로 밀려나는 현상입니다. 과거에는 30대에 주로 일어났던 경력 단절이 이제는 40대로 옮겨가고 있는 거죠.


왜 이런 현상이 생겼을까요? 바로 결혼과 출산 연령이 늦어졌기 때문이죠. 2022년 기준으로 여성들이 첫 아이를 낳는 평균 나이가 33세였습니다. 10년 전보다 2.5살이나 늦어진 거예요. 결혼도 늦어지고 아이도 늦게 낳으니까, 자연스럽게 경력 단절의 시기도 뒤로 밀리고 있는 거죠.

3. 저출산과 M커브 완화 현상.

나는 일을 할 수 있어 행복해

M커브가 완화되는 데는 저출산 현상도 한몫하고 있어요. 2022년에는 우리나라 여성 1명당 평균 0.78명의 아이를 낳았습니다. 역대 최저입니다. 출생아 수도 24만 9천 명으로 가장 적었고요.


이게 무슨 의미일까요? 간단히 말해서, 아이를 낳는 여성이 줄어들었다는 거예요. 그러니까 출산 때문에 일을 그만두는 여성도 줄어들 수밖에 없겠죠. 결과적으로 M커브의 골짜기가 얕아지고, 경력 단절 현상도 약해지고 있는 거예요.

4. 여성 고용 행태의 변화: 일-가정 양립 증가.

여성들의 일하는 모습도 많이 바뀌었습니다. 요즘 여성들은 교육 수준도 높고, 받는 임금도 높아졌거든요. 그러다 보니 아이를 낳고 나서도 일을 계속하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맞벌이를 선택하는 부부가 늘어난 거죠.


또 하나 재미있는 현상이 있어요. 우리 사회가 점점 고령화되면서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이 많아졌잖아요? 그래서 보건복지 분야에서 30~40대 여성들의 일자리가 많이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런 변화들이 M커브를 점점 완만하게 만들고 있답니다.

5. 노동시장의 새로운 과제: 성별 격차 해소.

M커브가 사라지고 있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건 아닙니다.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죠. 30대 여성 취업자 수가 늘어나고는 있지만, 여전히 남성보다는 적어요.


선진국을 보면 여성들의 사회 참여율이 높은 나라일수록 M커브가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도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하면서도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제도를 더 만들고, 남녀가 평등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자, 지금까지 M커브의 변화에 대해 알아봤어요. 놀랍지 않나요? 우리 사회가 이렇게 빠르게 변하고 있다니 말이에요.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요. 더 나은 노동시장을 만들기 위해 우리가 모두 관심을 가져야 할 때입니다.

경단녀란?

①정의:

경단녀는 ‘경력 단절 여성’의 줄임말로, 결혼, 임신, 출산, 육아 등의 이유로 직장 경력이 단절된 여성을 의미.

②주요 원인:

⒜육아 부담 (가장 큰 요인).
⒝일-가정 양립의 어려움.
⒞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관행.
⒟남녀 간 소득 격차.

③사회경제적 영향:

⒜여성 인력 활용 저하로 인한 경제적 손실.
⒝GDP 대비 4.9%의 손실 발생.

④정부 대책:

⒜’경력단절여성등의 경제활동 촉진법’ 제정 (2008년).
⒝새일센터 운영을 통한 재취업 지원.
⒞직업훈련 및 일 경험 지원 프로그램 제공.

⑤현황: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점차 상승 중.
⒝그러나 여전히 주요국 중 가장 큰 격차 존재.

⑥해결 방안: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 강화.
⒝노동시장의 성별 격차 해소.
⒞경력 단절 예방에 초점을 맞춘 정책 수립.